이주배경 청소년 지원재단

Newsletter

[인터뷰] 남북포럼 그 첫번째 이야기

Writer
관리자
Date
2014.07.24
Views
2614



남북포럼 그 첫번째 이야기

 

서울외국어고등학교 통일교과 교사 이나영


인격적 만남을 통한 남북청소년 통합을 주제로 79일 수요일, 여명학교 친구들과 서울외국어 고등학교 통일동아리 ‘UNIKOREA’ 학생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통일교육협의회의 지원을 받아 서울숲 옆에 위치한 그랜드마고 카페를 대관하였고 학생들은 여명학교 11, 서울외고 9, 20명의 학생과 교사 2명이 참석하였다.

남북포럼은 통일독일 이후 사회통합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던 동서포럼(Ost-West Forum)’에 영감을 얻어 진행되는 프로젝트로써 남북한 청소년들이 한 자리에 모여 서로의 삶을 나누고 인격적 관계를 맺는 데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뿐만 아니라 참여자들의 비율이 북한 출신의 학생들이 한국 출신의 학생들보다 높은데, 이 이유는 한국사회에서의 소수자, 즉 탈북 청소년들에게 다수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동서포럼은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Friedrich Ebert Stiftung)의 악셀슈미트 괴들리츠의 노력으로 시작되어 독일통일 이후 1994년부터 인간적 만남을 통한 동서독 사회 통합을 위해 동서독 출신의 독일인 5명이 함께 모여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나누고 이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1994년 이후 현재까지 2,000명이 넘는 동서독 주민들이 참여하였고 이는 통독의 사회통합에 중요한 프로젝트로 평가되고 있다. 동서포럼에는 중요한 규칙이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가자들은 어떠한 방해를 받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자신의 이야기를 하며 이야기를 하는 사람 이외에 모든 사람들은 함께 경청하고 공감하는 것이다. 둘째, 가장 중요한 규칙은 상대방의 삶을 평가하지 않는 것이다. 이번에 여명학교와 서울외고가 함께 실시한 남북포럼도 이와 같은 규칙 아래 활동이 진행되었다.

올해부터 처음 통일교과과목이 신설된 서울외고 통일동아리 ‘UNI KOREA’에서 처음으로 인격적 만남을 통한 남북청소년들의 만남을 기획하여 북한이탈 청소년 대안학교인 여명학교 학생들과 함께 통일 이전 남북한 청소년 통합을 위한 남북포럼을 진행하였다. 79일 처음 시작된 남북포럼은 이와 같은 인격적 만남들을 통해 불량국가 북한에 사는 북한 주민들은 불량주민일 것이라는 폐쇄적인 생각들과 편견들의 벽을 허물고 서로를 인격적으로 이해하면서 통일 이후의 통일, 즉 사회 통합을 건강하게 이루는 한반도를 만들고자 첫 발걸음을 내디뎠다. 지금부터는 남북포럼에 참여하였던 학생들의 소감을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